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동은 기자 나와있습니다. 이 기자, 첫번째 주제 '피말리는 3자 구도'네요? 이번 총선에서 3자 구도가 형성된 지역구가 곳곳에 있죠? <br><br>네, 먼저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무소속으로 출마한 대구 수성을로 가보겠습니다. <br> <br>지금 나오는 장면이 수성을 후보자 토론회인데요. <br> <br>보시는 것처럼 미래통합당 이인선 후보의 옷 색깔과 홍준표 후보의 넥타이 색깔이 똑같습니다. <br><br>Q. 둘 다 핫핑크, 미래통합당 색깔이네요. <br><br>네, 두 사람의 신경전 잠시 보겠습니다. <br><br>[이인선 / 대구 수성을 통합당 후보(지난 8일)] <br>"대선을 위해서 이번에 꼭 무소속 후보로 가서 대권하겠다 이렇게 말씀하셨는데." <br> <br>[홍준표 / 대구 수성을 무소속 후보(지난 8일)] <br>"이인선 후보께서 지난 대선 때 고생하신 것 잘 알고 있습니다. 미안합니다. ㅎㅎ" <br><br>홍 후보는 당선되면 복당해 대권에 도전하겠다고 벼르고 있는데요. <br><br>여권 유력 주자인 이낙연 전 총리를 콕 집어서 "홍준표 대 이낙연 구도가 되면 영호남 구도, 좌·우파 구도라 절대 지지 않는다"고 자신했습니다.<br><br>Q. 미래통합당을 탈당해서 고향에 출마한 김태호 전 경남지사는 상황이 어떻습니까? <br><br>가장 최근 여론조사에서 초박빙으로 나타났는데요. <br><br>보시는 것처럼 3자 구도는 아니지만 통합당 강석진 후보가 39.2%, 무소속 김태호 후보가 35.9%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김태호 후보는 무릎을 꿇고 눈물까지 흘렸습니다. <br><br>[김태호/경남 산청·함양·거창·합천 무소속 후보(지난 6일)] <br>"태호가 마지막으로 고향 크게 발전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도록 태호 한 번 살려주십시오. 김태호 이번에 고향에서 꼭 살려주십시오." <br><br>Q. 강원 강릉도 3자 구도로 주목받는 곳이죠? <br> <br>네, 강원 강릉은 보수 진영에서 쭉 당선자를 배출한 곳인데요. <br> <br>이번에는 보수 진영에서 후보 3명이 동시에 나오면서 보수 대 진보, 3 대 1 구도가 됐습니다. <br><br>최근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김경수 후보가 33.9%, 무소속 권성동 후보가 29%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보였고, 홍윤식 통합당 후보, 최명희 무소속 후보가 뒤를 이었습니다.<br><br>Q. 보수 진영 단일화 여부가 막판 변수가 되겠네요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헷갈리는 투표 무효 총정리'. 그제랑 어제 사전투표가 진행됐는데 투표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죠. 이동은 기자도 사전투표 했습니까? <br><br>네, 아무래도 총선 당일에 바쁠 것 같아서 미리 투표를 했습니다. <br><br>Q. 저도 사전투표를 했는데, 비례대표 투표 용지가 약 50cm나 돼서 너무 길더라고요. 한 번 접어서는 봉투에 들어가지도 않고요. <br><br>네, 그래서 저도 두 번 접어서 봉투에 넣었는데요. <br> <br>비례대표 용지를 잘못 접으면 혹시 무효표가 되는 거 아니냐고 걱정하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. <br> <br>제가 여기서 정리해드리면 용지를 어떻게 접어도 무효표가 되지 않으니까 마음대로 접으시면 됩니다. <br><br>Q. 용지를 반으로 접다가 다른 후보나 정당 쪽에 인주가 묻으면 어떻게 되나요? <br><br>투표소 안에 비치된 기표 용구는 잘 번지지 않는 특수잉크를 쓰기 때문에 인주가 묻어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. <br><br>게다가 기표 용구 도장 모양이 '卜(점 복)'이잖아요. <br> <br>모양이 비대칭이어서 어느 쪽이 기표한 도장이고 어느 쪽이 찍힌 건지 구분할 수 있으니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 <br><br>Q. 기표란이 아니라 이름이나 기호, 정당 칸에 기표하면 어떻게 됩니까? <br><br>유효표입니다. 같은 후보이기만 하면 이름, 기호, 정당 칸에 두 번 이상 찍어도 그 후보에게 투표한 걸로 봅니다. <br><br>기표도장이 후보란을 구분 짓는 선에 걸리기만 해도 유효인데요. <br> <br>하지만 후보 2명의 후보란 가운데에 기표하면 무효표로 간주합니다.<br><br>Q. 기표는 반드시 투표소 안에 비치된 기표 용구로 해야 하는거죠? <br><br>네, 그렇습니다. 펜이나 연필 등 다른 용구를 사용하면 무효입니다. <br> <br>투표소에 직접 가지 않고 우편으로 투표하는 '거소 투표'에만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Q. 코로나19 때문에 양손에 비닐장갑을 끼고 기표하잖아요. 기표 실수를 하지 않도록 더 주의해야겠습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<br><br>